본문 바로가기

나와 관련된 남의 글/인터뷰/언론보도

‘가짜뉴스와의 전면전’ 선포… 당신이 믿었던 그 ‘뉴스’는 가짜다

http://news.bookdb.co.kr/bdb/IssueStory.do?_method=detail&sc.webzNo=33914&Nnews


지난 10월 2일, 이낙연 국무총리가 ‘가짜뉴스와의 전면전’을 선포한 이후, 여야가 '가짜뉴스’ 척결에 대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오늘(10일) '가짜뉴스대책특별위원회(이하 가짜뉴스 대책특위)'의 구성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최근 무분별하게 확산되고 있는 ‘가짜뉴스’에 대한 선전포고다. 가짜뉴스 대책특위는 총 모니터링단, 팩트체크단, 제도개선단, 자문위원단 등 6개 대책단으로 꾸려졌으며, 국정감사가 시작되는 오늘부터 가짜뉴스 신고센터에 접수된 내용의 법적 조치를 검토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가짜뉴스의 기준이 모호하다’며 더불어민주당의 가짜뉴스 제재 방안에 대해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행위’라고 반발하고 나섰다.

최근 ‘가짜뉴스’는 그 심각성이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인터넷이 발달함에 따라 SNS, 유튜브 등 사회관계망 서비스가 급발전하면서 개인 또는 특정 집단이 사실이 아닌 내용을 진짜 뉴스처럼 퍼뜨리는 경우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수많은 정보가 범람하는 서비스 속에서 ‘가짜뉴스’를 알아내기가 점차 힘들어진다는 사실이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성인 5명 중, 3명은 가짜뉴스 등의 허위정보를 구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모바일 동영상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인식조사’)

거짓으로 조작된 가짜뉴스는 어떻게 우리의 일상을 뒤흔들고 있을까. 나아가 교묘한 방식으로 여론을 조장하는 나쁜뉴스의 실체는 과연 무엇인가. 뉴스를 소비하는 국민의 역할은 무엇일까. 관련 책들을 통해 함께 살펴본다. 

 

​"당신이 믿고 싶은 모든 것을 의심하라"

상황에 따라 ‘거짓말’은 헤프닝이 될 수도, 무기가 될 수도 있다. 오늘날의 가짜뉴스는 무기 그 자체다. 이 ‘무기화된 거짓말’은 거짓이 진실을 압도하는 ‘탈진실 사회’를 야기시켰다. 그렇다면 무분별한 가짜뉴스가 일으킨 여러 사회적 문제들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 소셜미디어 플랫폼? 가짜뉴스 생산자들?

신경과학자이자 인지심리학자인 대니얼 J. 레비틴 박사는 책 <무기화된 거짓말>(대니얼 J. 레비틴 /레디셋고/ 2017년)을 통해 아무 의심없이 가짜뉴스를 ‘확산하는 자’에게 가장 큰 책임이 있다고 단언한다. 그렇기에 오늘날 언론뿐만 아니라 개인 또는 특정 집단이 얼마든지 조작할 수 있는 가짜뉴스를 냉정하고 이성적으로 판단하고 의심하는 ‘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책은 가짜뉴스가 얼마나 체계적이고 세밀하게 조작된 자료를 만들어내고 있는지, 거짓 정보는 어떤 과정을 통해 부풀려지고 확산되는지 추적한다. 오늘날 하나의 무기로 작용하는 가짜뉴스를 어떻게 판단할 것인지, 나아가 온갖 정보의 홍수 속에서 어떤 비판적 사고가 필요한 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뉴스를 주입하는 공범자들의 꼼수 파헤치기”

가짜뉴스의 무분별한 증가가 ‘의심없이 뉴스를 확산하는 이들의 책임’이라면, 애초에 신뢰할 수 없는 뉴스를 생산하고 주입하는 이들의 책임 또한 따져봐야 한다. <뉴스는 어떻게 조작되는가>(최경영/ 바 다출판사/ 2017년)를 출간한 뉴스타파 최경영 기자가 말하는 ‘공범자들’이 바로 그들이다.

한두 개의 인터넷 포털이 뉴스의 유통을 독과점하는 현실. 과연 우리는 정말 뉴스의 생각들로부터 자유로운가? 많고 많은 가짜뉴스, 주입된 뉴스 속에서 냉정한 비판적 사고를 지켜왔다고 말할 수 있을까? 최경영 기자는 대표 신문이나 방송사로 불리는 언론에 의심의 돋보기를 갖다 댄다. 지금껏 정치, 경제, 행정 권력과 연계되어 권력을 위한 뉴스를 생산해 온 일부 한국 언론의 불편한 진실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그는 한국 언론이 국민을 속이는 방법으로 9가지로 나누어 ‘나쁜뉴스’의 생산 과정을 폭로한다. 또한 법과 규범의 틀 속에서 ‘합법적 부조리’를 생사해 온 ‘공범자들’을 비판하며, 변화를 위해 시민들이 명심해야 할 사항들을 설득력있게 정리했다.

“나쁜뉴스에 반문하지 못하면 나쁜 나라에 살게 된다”

거짓된 정보 조작을 기반으로 한 가짜뉴스와 비교한다면 나쁜뉴스의 방식은 조금 더 교묘하다. 그럴싸한 사실의 내용을 일부 생략한다거나, 원인과 결과 또는 전제 조건을 따지지 않는 방식으로 기사의 본질을 흐리기도 한다. 불행한 것은 이미 수많은 ‘나쁜뉴스’가 우리 일상 속에 잠식해 있다는 사실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뉴스의 정의를 다시 생각하고, 언론이 감춘 허상을 깨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가 있다. 매체비평지 ‘미디어오늘’ 몸 담았던 現 정의당 조직위원회 차장 조윤호다. 그는 ‘미디어오늘’에 기자로 재직할 당시, 독자와 언론인들의 관심을 받았던 연재글을 모아 <나쁜뉴스의 나라>(조윤호/ 한빛비즈/ 2016년)를 출간했다. 의도된 왜곡을 가려낼 줄 아는 독자, 의심하는 대중, 나쁜뉴스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절실하다는 생각에서다. 그는 보수 진보를 가리지 않고 양 진영의 성역을 넘나드는 비판을 하며 오늘날 ‘뉴스의 정의’에 대해 다시 묻는다. 또한 자신이 몸담고 있던 언론계의 명암에 대해 가감 없이 파헤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