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계 “정호성 비서관, 청와대 유출경위서 묵살”
박범계 “정호성 비서관, 청와대 유출경위서 묵살”
청와대 문건 유츨 경고한 경위서 공개…“정윤회 문건, 유출 안 될 수도 있었다”
박범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청와대 문건 유출과 관련된 ‘유출 경위서’를 제시하며 이 보고서가 정호성 제1부속비서관에 의해 묵살됐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어 이 경위서가 대통령에게 보고됐다면 ‘정윤회 문건’ 유출을 막을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새정치민주연합 ‘비선실세 국정농단 진상조사단’ 단장을 맡고 있다.
박 의원은 15일 열린 임시국회 긴급현안질의에서 청와대 문건 관련 ‘유출 경위서’를 공개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이 유출 경위서는 지난 3월 말 세계일보가 청와대 행정관 비위동향 문건을 입수하고 보도한 이후, 그리고 세계일보가 5월 2차로 ‘박지만 문건’을 입수한 이후 작성된 것이다. 세계일보는 박지만 문건을 경위서 작성자에게 전달했다.
이 문건에는 녹취록도 첨부돼 있다. 녹취록에 따르면 문건 유출은 MB정부 때 민정수석실에서 함께 근무하던 행정관 2명으로부터 시작됐다. 한 명은 아직도 민정수석실에 근무하고 있고 한 명은 대검찰청 범정기획과로 복귀했다. 이들을 거쳐 문건이 세계일보로 유출됐다는 것이 녹취록의 내용이다.
박 의원은 “유출 경위서에는 ‘박지만 문건보다 더 민감한 문건이 앞으로 유출될 수 있다’는 내용, ‘BH(청와대)가 개판이더라’, ‘문건 유출의 원천은 박 정부 실세로 승진시켜줄 힘과 권한을 갖고 있다’는 내용이 있다”며 “세계일보가 박지만 문건을 보도하면 BH에 비난이 집중될 것이며 3, 4차로 세계일보에 자료 제공이 있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고 대책을 세우라는 내용이 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또한 “이 경위서의 작성자들은 청와대 오 행정관을 통해 정호성 제1부속비서관에게 해당 문서를 전달한다. 하지만 정 비서관은 이를 묵살했다”며 “이 경위서는 세계일보가 정윤회 문건을 입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만들어졌다. 민정수석실이 이 보고서를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경위서의 지적대로 3,4차 유출을 막기 위한 노력을 했다면 정윤회 문건은 언론에 유출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황교안 법무부장관은 “검찰이 그 내용을 상당 부분 파악하고, 필요한 수사를 해 나갈 것”이라며 “(유출 경위서도) 검찰이 확보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박 의원은 “유출경위서를 읽고 대통령에게 보고 드렸다면 정윤회 문건은 유출되지도 보도되지도 않을 수 있었다. 왜 묵살됐을까”라며 “대통령이 박지만 문건을 통해 정윤회 문건의 실체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대통령이 듣지도 보지도 못하게 묵살한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