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거 글/슬로우뉴스

주간 뉴스 큐레이션: 회사에 길든 가축, ‘사축’이 된 청년들

2016년 1월 셋째 주 좋은 기사 솎아보기

1. 참거나 제 발로 나가거나… ‘사축’이 된 청년들

어느새 ‘취업’은 대한민국 청년들의 희망 사항이 됐다. 하지만 취업한 청년들 앞에는 ‘사축'(社畜)의 삶이 기다리고 있다. 경향신문이 ‘부들부들 청년’ 기획에서 꿈에 그리던 취업 이후에도 여전히 비명을 지르고 있는 청년들의 삶을 짚었다.

이혜영 씨는 광고 벤처회사의 한 자리에서 40시간을 일했다. 10년간 4차례 직장을 옮기며 월급이 5배 뛴 이 씨는 결국, 또다시 회사를 그만뒀다. 서른을 갓 넘은 나이임에도 온몸이 ‘번아웃’ 됐다고 말한다. 끝없는 야근에 각종 술자리에 불려다니는 이들의 별명은 이족보행을 포기하고 돌고래, 원숭이, 경주마, 소, 일개미, 고양이 등의 동물, ‘사축(社畜)’이 됐다.

이들은 오로지 여왕개미(상사)가 언제 퇴근할지를 오매불망 기다린다. 평균 11개월간 준비해 취직한 한국의 청년 10명 중 6명이 15개월 만에 첫 일자리를 그만두고 있다. 이들의 선택은 “찍퇴(찍어서 퇴직)보다 낫다”고 자조하며 참거나 제 발로 떠나는 것뿐이다.

● 경향신문 ‘부들부들 청년’ 기획

경향신문 큐레이션 사축

2. 박근혜 대통령에게 사라진 단어 ‘민주주의’ 

2016년 1월 13일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담화문에는 ‘월남’이라는 단어가 등장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75년 월남 패망에 관한 담화를 발표한 이후 41년이 지나 다시 월남이 등장했다. 이처럼 대통령의 말에는 대통령의 인식이 담겨 있다. ‘한겨레21’은 1998년부터 2015년까지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의 말을 심층 분석했다.

과거 대통령과 비교하면 현저하게 드러나는 박근혜 대통령의 차이점은 ‘민주주의’가 없다는 것이다. 취임 이후 박 대통령은 공식 연설문에서 25번 민주주의란 단어를 썼다. 9만 4,530개 단어 중 25개. 거의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1,148번, 노무현 전 대통령은 906번, 이명박 전 대통령이 269번 언급한 것에 비해 현저히 낮다. 게다가 박 대통령이 언급한 민주주의는 ‘애국심’, ‘적폐’와 같은 단어들과 함께 등장한다. 애국심은 43번 쓰였고, 적폐도 20번 쓰였다.

사라진 단어는 또 있다. ‘경제민주화’다. 2013년 11월 이후 연설문에서 아예 경제민주화라는 단어를 찾아볼 수 없다. ‘복지’도 20번(2013년)→11번(2014년)→10번(2015년)으로 존재감이 점점 희미해진다. 대통령이 언급하지 않은 그 단어들은 실제 현실에서도 사라졌다. 박근혜 대통령이 공약했던 경제민주화와 복지 공약의 대부분은 사라지거나 누군가의 부담으로 떠넘겨졌다. 민주주의도 마찬가지다. 박근혜 대통령의 청와대 기자들과의 공식 회견은 고작 3번뿐이다. 2년 8개월 간 대통령의 말은 현실이 됐다.

●한겨레21

한겨레 큐레이션 대통령 말

3. 총선의 슈퍼 갑, 지역구청장

총선에는 수많은 변수가 있다. 가장 큰 권한을 가진 인물은 각 당의 공천권자다. 부산일보는 여기에 한 가지 변수를 추가했다. 바로 지역 정치에서 국회의원보다 더 센 슈퍼 갑 구청장이다. 새누리당이 주장하는 상향식 공천이 관철될수록 구청장의 역할은 더 중요해진다.

정가에서는 “지자체장과의 거리가 당락(當落)을 결정한다”는 말이 있다. 부산에서 단체장과 관계가 원만한 후보들은 당내 경쟁률이 현저히 낮다. 내부 경쟁자가 없다는 뜻이다. 반면 구청장과 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현역 의원들 앞에는 험난한 길이 기다리고 있다. 도전자가 많다. 이 가설이 맞는지 확인하는 것도 이번 총선의 한 가지 관전 포인트다.

●부산일보

부산일보 큐레이션

4. 총선 예비후보, 기업인이 노동자의 5배

우리는 우리를 대변해줄 사람을 뽑기 위해 투표를 한다. 그들은 과연 자신들의 이해관계보다 우리를 더 대표할 수 있을까? 뉴스타파가 1월 19일까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한 예비후보 1,022명의 출신과 경력을 전수조사한 결과, 기업인 출신은 전체의 18%로 노동자 출신(전체의 4%)보다 5배가량 많았다.

가장 많은 경력은 22%를 차지하는 전문정치인이었다. 그다음이 기업인 출신(대기업 임원, 중소기업 대표 등)이었다. 반면 대기업 임원급 이하의 회사원 등을 포함한 노동자 출신은 40명이었다. 4%가 채 되지 않았다. 법조인은 119명(12%), 공직자 출신은 116명이었고 학자와 언론인, 의료인의 비중도 높았다. 엘리트 계층이라 할 수 있는 기업인, 법조인, 학자, 언론인, 의료인을 모두 합치면 55%에 달했다.

충북 ‘제천 단양’ 지역구의 경우 유권자의 대다수가 농업, 자영업, 노동자이지만 12명의 예비후보 가운데 유권자를 대변할 수 있는 경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극소수다. 대부분이 경찰청장, 지방국토관리청장, 청와대 비서관, 변호사, 기업인 등이다. 기득권층이 과대 대표되고 사회적 약자 계층이 과소 대표되는 현상은 대표의 위기를 불러온다. 그리고 대표의 위기는 정치의 위기를 낳는다.

● 뉴스타파

5. 정당이 영입한 새 인재들, 얼마나 오래갈까?

총선을 앞두고 각 정당의 인재 영입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들은 총선용이자 일회용 인재가 될까 아니면 한국 정치의 진보에 기여하는 인재가 될까. 중앙일보가 역대 총선 영입 인사들이 4년 뒤, 8년 뒤에도 당선됐는지를 분석했다.

15대 총선 초선 의원들의 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3김'(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이 영입을 주도했던 정의화 국회의장과 황우여·이재오 의원(이상 신한국당 출신), 김한길·천정배·추미애 의원(이상 국민회의 출신), 정우택 의원(당시 자민련, 현 새누리당) 등이 15대 총선 때 입성했다. ‘3김’의 정면 승부로 현역 30~40%가 물갈이됐고, 이들은 20년이 지난 지금 정치의 주역이다.

이들의 인재등용은 정당 입장에서 좌우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했다. DJ가 대기업 임원 출신 정세균 의원을 데려오거나 YS가 김문수, 이재오 등 기존 보수여당이 엄두 못 낼 재야인사를 데려온 것이 대표적이다. 나아가 이들은 공천을 챙겨줄 수 있는 제왕적 리더였다. 하지만 현재 당의 리더는 공천을 보장해줄 수도 없으며 두고두고 쓰는 인재가 아니라 상대 진영을 공격하기 위한 저격수 아니면 대중적 인지도만 빌려 쓰는 이미지 팔이에 그친다.

결국, 가장 좋은 방법은 인재영입에만 매달리지 말고 당 안에서 인재를 키우는 것이다. 반짝 영입이 아니라 영입과정을 시스템화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이제 깜짝 ‘영입’에만 주력할 게 아니라 ‘그 인재가 영입 이후 어떻게 됐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한다.

● 중앙일보

중앙일보 큐레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