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4월 셋째 주 좋은 기사 솎아보기
1. 2030의 선거 반란? 오버하지 마라
4·13 총선에서 야권이 의외의 승리를 거두면서 이 승리요인에 대한 분석이 쏟아졌다. 그중 하나가 2030 청년세대가 헬조선에 분노해 투표로 심판했다는 것이다. 한겨레 등 진보언론에서 이런 분석을 내놨다. 20대 언론 고함20은 이러한 분석이 과장됐다고 지적한다.
한겨레(‘2030의 선거 반란’)는 20대 투표율이 무려 13%p 상승했다며 그 근거로 19대 총선의 실제 세대별 투표율은 아래와 같이 대폭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 한겨레의 잘못된 보도
- 20대 투표율: 36.2% (19대 총선) → 49.4% (20대 총선)
- 30대 투표율: 43.3% (19대 총선) → 49.5% (20대 총선)
하지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한 19대 총선의 실제 20대 투표율은 41.5%고 30대 투표율은 45.5%다. 36.2%, 43.3%는 강원도 지역 내 20대, 30대 유권자의 19대 총선 투표율이다.
한겨레뿐 아니라 경향, 한국일보 등 매체가 이런 잘못된 수치를 가지고 2030의 반란을 부각했 다. 20대 총선 출구조사를 가지고 투표율이 올랐다는 것도 섣부른 판단이다. 지난 19대 총선의 경우만 봐도, 출구조사 결과에서 20대 투표율은 45%, 30대는 41.8%로 추정되었으나 실제 투표율은 20대는 41.5%로 3.5%p 감소하고, 30대는 45.5%로 2.7%p 증가했다. 아무리 투표율이 올랐다고, 그래서 야권이 승리했다고 말하고 싶어도, 기본을 놓치면 안 된다.
●고함20
2. 100% ‘새누리 몰표’의 진실
선거는 끝났지만, 선거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끊이지 않고 있다. 비례대표 투표지에서 100% 새누리당 몰표가 나온 진주 갑 수곡면 투표소가 대표 사례다. 많은 언론은 이상한 몰표에 대해 논란 형식으로 기사를 쓰거나 “교차투표 가능성이 있으니 별문제 없다”는 선관위의 해명을 받아썼다.
지역언론인 경남도민일보는 유권자 직접 취재에 나섰다. 유권자들은 “나는 더민주를 찍었다”, “안철수당을 찍었다”고 증언했다. 유권자 정철근 씨는 “나는 더불어민주당을 찍었다. 그럼 내 표를 어디 갔는고?”라며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 상황에서도 선관위는 “모든 절차가 정상적으로 이뤄졌다”며 버텼다.
경남도민일보는 추가 취재를 통해 새누리당을 찍지 않았다는 유권자의 증언을 전했고, 여러 언론이 이를 받아쓰면서 논란이 되자 그제야 선관위가 재검표를 하겠다고 나섰다. 그 결과 전체 정당별 득표는 변함이 없었지만, 수곡면과 명석면 비례대표 사전투표지가 섞이는 절차상 오류가 드러났다. 유권자의 소중한 한 표를 지키는 일, 언론이 해야 하는 감시활동의 하나다.
● 경남도민일보
3. 장애인에게 ‘교육권’은 없다
장애인도 시민이고 따라서 대한민국 시민이 누려야 할 권리를 모두 보장받아야 한다. 하지만 아직 멀고도 험하다. 국민일보가 장애인의 날(4월 20일)을 맞아 통학도 통합교육도 받기 어려운 장애인 교육권에 관해 짚었다.
자폐증이 있는 고2 안지현 양은 오전 6시에 하루를 시작한다. 집에서 1시간 30분 걸리는 특수학교에 가기 위해서다. 많은 장애인 학생들이 2~3시간 걸리는 통학을 감당해야 한다. 서울에 14년째 특수학교가 한 곳도 지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교육부 조사결과 편도 2시간 이상을 통학하는 특수학교 학생은 103명, 1∼2시간은 2,791명에 달했다. 특수학교는 번번이 지역주민의 반대에 부딪힌다.
부족한 특수학교 탓에 장애인들은 일반 학교로 향하지만, 따돌림과 학교폭력에 시달리기 일쑤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차별을 줄이자는 취지로 도입된 통합교육은 20년을 거치며 어느 정도 자리 잡았지만, 학년이 올라가면서 적응하지 못하고 특수학교로 옮기거나 전학을 거듭하는 경우가 잦다. 스승도 부족하다. 전국 공립특수학교 특수교사 수는 법으로 정해진 정원의 70%에도 못 미치는 62.8%에 불과하다.
● 국민일보
- 우리는 장애 아이들의 교육에 눈 감았다… 자폐증 지현이의 ‘3시간 통학길’
- “집값 하락” 반발… 서울 특수학교 14년간 증설 못해
-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불구, 특수교사 태부족… 정원 확보율 63% 그쳐
- 준비 안된 ‘물리적 통합’… 아이들 마음엔 상처만
- 신현기 단국대 특수교육과 교수 “일반 수업 따라가야 진정한 통합교육”
4. 서울 속 외국인 마을, 돈 따라 움직인다
서울을 돌아다니면서 외국인들을 마주치는 건 이제 어렵지 않은 일이다. 지난해 행정자치부가 발표한 ‘2015년 외국인 주민 현황’을 보면 한국에 사는 외국인은 174만 1,919명으로 전체 인구의 3.4%를 차지했다. 조선비즈가 다문화 사회 초입의 근거라 할 수 있는 외국인 마을의 생활과 거주환경을 살펴봤다.
대림동에는 ‘서울 속 작은 중국’이라 불리는 중국인 거리가 있다. 낮은 임대료와 지하철 역세권 등 발달한 교통 여건들로 인해 조선족과 중국인들이 자리를 잡았다. 대부분 단독주택이나 다가구 연립주택에 거주한다. 용산구 동부이촌동 일대에는 1,000여 명의 일본인들이 거주하는 ‘리틀 도쿄’가 있다. 이들은 보증금을 일부 낀 월세를 선호한다.
이태원에는 이슬람 사원을 중심으로 이슬람 거리가, 옛 이화 시장 골목 중심으로 아프리카거리가 있다. 값비싼 음식점이 많은 이태원 해밀턴호텔 뒷골목이나 중심 상가 쪽보다 물가가 저렴하다는 이유로 저소득층인 아프리카계 외국인들이 모여들었다. 하지만 이슬람, 아프리카 거리 상권은 상승한 임대료에 하나둘 문을 닫고 있다. 외국인 마을도 ‘젠트리피케이션’의 대상이 될까.
● 조선비즈
- 대림동에 펼쳐진 리틀 차이나…”한국에 일 찾아온 왕서방의 두 번째 고향”
- ‘작은 일본’ 이촌동…”예배·진료·주문도 日語면 OK”
- 이태원 이슬람·아프리카 거리, 高임대료에 10년만에 휘청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은 도시에서 비교적 빈곤 계층이 많이 사는 정체 지역(도심 부근의 주거 지역)에 저렴한 임대료를 찾는 예술가들이 몰리게 되고, 그에 따라 이 지역에 문화적/예술적 분위기가 생기게 되자 도심의 중상층/상류층들이 유입되는 인구 이동 현상이다. 따라서 빈곤 지역의 임대료 시세가 올라 지금까지 살고 있던 사람들(특히 예술가들)이 살 수 없게 되거나, 지금까지의 지역 특성이 손실되는 경우가 있다. (- 위키백과, ‘젠트리피케이션’)
'과거 글 > 슬로우뉴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 뉴스 큐레이션: 왜 치킨은 안 되고 조선은 되나 (0) | 2016.05.22 |
---|---|
주간 뉴스 큐레이션: 아이가 아프면 가족이 무너진다 (0) | 2016.05.22 |
주간 뉴스 큐레이션: 민심은 이미 변하고 있었다 (0) | 2016.05.01 |
주간 뉴스 큐레이션: 할배들의 ‘묻지 마 1번’ (0) | 2016.04.18 |
주간 뉴스 큐레이션: 헬조선의 탈출구 ‘ㅇㅈ’ (0) | 2016.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