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신임’ 받은 국민일보 편집국장 사의표명
‘센터제’ 비효율·진영 전 장관 단독 뒤집기 등 영향…“투표 결과 원인 살펴보고 있다”
최근 평가투표에서 불신임을 받은 김명호 국민일보 편집국장이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국장이 불신임을 받은 이유로는 조직개편과 단독보도를 뒤집은 사건 등이 꼽히고 있다.
지난 9월 30일과 10월 1일 이틀 간 진행된 국민일보 편집국장 평가투표에서 과반수가 불신임 의견을 냈다. 재적인원 154명 중 120명이 투표에 참석했고 이 중 78명이 불신임, 42명이 신임 의견을 냈다. 평가투표는 재적인원의 과반이 불신임 의견을 내야 유효하다. (관련 기사 : <국민일보 김명호 편집국장 ‘불신임’>)
국민일보 단체협약 제66조에 따르면 편집국장은 임명된 지 1년이 지나면 평가투표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국민일보 노사는 2009년 평가투표 제도를 처음 도입했다. 2008년 박미석 청와대 사회정책수석의 논문 표절 기사가 삭제되면서 정병덕 당시 편집국장과 백화종 편집인이 사퇴하는 사건을 겪으며 만들어졌다.
단체협약 66조는 편집국장이 평가투표에서 재적 과반수 이상의 불신임을 받을 경우 투표 결과를 인사에 ‘고려’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사측도 이번 평가투표 직후 “수용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명호 편집국장 역시 회사에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관련해 최삼규 국민일보 사장은 10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사의표명은) 의례적인 것”이라며 “투표 결과가 왜 그렇게 나왔는지 간부들과 함께 고민하고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명호 편집국장이 불신임을 받은 것을 두고는 크게 두 가지 원인이 꼽힌다. 첫 번째는 2~3개 부서를 묶어 운영하는 ‘센터제’다. 국민일보는 지난 6월, 부서 간 장벽을 허문다는 취지에서 정치부와 외교안보국제부, 사회부와 사회2부, 경제부와 산업부 등을 센터로 묶는 새로운 조직개편을 시도했으나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국민일보 노조는 지난 8일 발행한 공보위 보고서를 통해 “불신임을 받게 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도 센터제 운영에 대한 불만이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편집국 구성원의 다수가 ‘현장 인력을 확충하겠다는 취지와는 반대로 보고 받는 사람만 늘었다’거나 ‘취재에서 지면제작까지 가는 과정이 훨씬 더 비효율적으로 바뀌었다’고 토로했다. 여전히 센터장의 역할이나 존재 이유를 모르겠다는 비판도 나온다”고 전했다.
두 번째는 진영 전 보건복지부 장관과 관련된 단독보도를 뒤집은 사건이 거론되고 있다. 국민일보는 지난해 10월 청와대가 진영 전 장관의 면담을 거부했고 이것이 진 전 장관의 사퇴로 이어졌다는 내용을 단독으로 보도했으나 지난 2월 5일 기사를 통해 자사의 기사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관련 기사 : <국민일보, 청와대 소송 피하려고 단독보도 뒤집었나>)
국민일보 한 기자는 “젊은 기자들과 편집부, 부장급 기자들 사이에서 반대 흐름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며 “부장급들의 경우 센터장 체제에서 느끼는 피곤함이 크게 작용했고, 젊은 기자들은 진영 전 장관 관련된 단독보도를 뒤집은 것이 주요하게 작용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나의 글 >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원들도 외면한 미래부 산하기관 어플 (0) | 2014.10.12 |
---|---|
인터넷 패킷감청설비, 최근 10년 간 9배 증가 (0) | 2014.10.12 |
뉴시스와 뉴스1이 합친다고? “합병 논의 전혀 없다” (0) | 2014.10.12 |
국민일보 고 최정욱 기자 추모문집 발간 (0) | 2014.10.09 |
자유언론실천선언 40주년, 자유언론 위한 재단 출범 (0) | 2014.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