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글 /기사

홍문종, ‘수상한 재산 증가’ 보도에 “법적 대응”

홍문종, ‘수상한 재산 증가’ 보도에 “법적 대응”
한국일보 “늘어난 재산 출처 불분명, 취재에 답변도 없어”… 홍문종 “악의적 추측성 기사, 답변 의무 없어”

한국일보가 성완종 리스트에 오른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의 재산이 대선 직후 증가했고, 2억~3억의 출처가 불분명하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홍 의원은 “허위사실 유포”라며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전 새누리당 의원)은 숨지기 전 경향신문과 인터뷰에서 2012년 대선 때 박근혜 후보 조직총괄본부장을 맡았던 홍문종 의원에게 선거자금으로 2억 원 정도를 건넸다고 폭로했다. 이에 홍문종 의원은 “단 1원이라도 받았다면 정계은퇴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이완구 총리와 홍준표 경남도지사의 금품수수 의혹에 대한 후속보도는 나왔지만, 박근혜 대통령 대선자금과 연결되는 홍 의원 관련 의혹에 대한 별다른 보도는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일보가 27일 단독보도를 통해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의 현금성 자산이 2012년 3억 원, 2013년 5억 원 등 2년에 걸쳐 8억 원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 가운데 의원세비 등 공식 수입을 뺀 2억~3억 원 가량은 출처가 불분명해 의혹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한 것. 

한국일보가 대선 직후 2012년과 2013년 2년치 홍 의원의 재산신고 내역을 확인한 결과, 2012년 6~12월 홍 의원의 예금은 3억2000여만 원이 늘고 2500여만 원이 줄었다고 한다. 임기 시작 7개월 만에 3억 원이 증가한 것으로, 한국일보는 1억2281만원의 정치후원금 계좌를 반영하고 의원세비(세전 8047만원) 일부를 저축한 것이라는 홍 의원의 소명을 감안해도 “나머지 1억여원의 출처는 계속해 의문이 남는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한국일보는 또한 “홍 의원은 이듬해인 2013년에도 예금이 5억여 원이 늘었다고 신고했다. 정치후원금(1억2,967만원)과 그 해 6월 취임한 국기원 이사장 활동비(3,000여만 원), 1년치 세비(세전 1억3,796만원), 건물 매도금(70억 원) 일부 등을 저축한 것이라고 설명했으나 이 소명도 명확하지가 않다”고 설명했다.

홍 의원은 한국일보에 2013년 7월 자신 소유였던 의정부시 의정부동 신도아크라티움 5ㆍ6ㆍ7층 3개 층을 충남 아산에 본사를 둔 J사에 판 뒤 20억원은 채권으로 남겨두고 50억원만 받았고, 이 돈으로 해당 건물에 대한 담보대출금(채권최고액 30억 원) 등 채무 37억여원을 변제하고 남은 돈을 예금에 반영시켰다고 설명했다. 

한국일보는 “홍 의원 설명대로라면 건물 매도금 가운데 남은 약 13억 원은 예금증가나 채무감소로 반영돼 있어야 하지만, 재산신고 목록에는 이런 흐름이 전혀 기재돼 있지 않았다”며 “결국 홍 의원의 2013년 예금증가분(5억 원)에서 문제의 건물 매도금을 반영하지 않으면 출처가 불분명한 돈은 2억 원에 달하고, 반영하면 되레 10억 원 이상을 재산신고에서 누락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홍문종 의원은 이에 27일 보도자료를 내고 “사실관계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추측성 기사”라고 반박했다. 보도자료에는 구체적인 재산증가에 대한 소명은 없었다. 홍 의원은 “금일 기사와 관련하여 사실관계에 입각한 반박 보도자료를 작성하여 언론사에 발송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 의원은 “악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허위사실을 유포하여 국회의원 품위와 명예를 훼손한 한국일보사와 해당 기자에 대하여 검찰고발 등을 통한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을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홍 의원은 또한 “추측성 기사를 작성한 유명식 기사와 한국일보사가 작년(2014년) 11월 12일과 12월 18일 두 차례에 걸쳐 ‘지난 총선과정에서 선거 사무실에 경민대학교 교직원을 돈 한푼도 주지 않고 부려먹었다’는 등 2건의 기사를 작성하여 보도한 바 있다”며 “위 기사는 사실관계에 입각하지 않은 음해성, 추측성 기사로 해당 기사 1건에 대해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하여 승소한 바 있으며 1건에 대하여는 소송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한국일보는 기사 말미에 “증가한 예금의 출처와 건물 매도금 사용처 등을 묻기 위해 홍 의원에게 수차례 전화를 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며 “의원님에게 이 문제를 직접 말씀 드렸는데 아무런 답변이 없다”는 홍 의원 측 관계자의 말을 전했다. 

이에 대해 홍문종 의원실 관계자는 “(한국일보가) 작년에 악의적인 추측성 기사를 계속 썼다. 문제제기에 일일이 다 응대할 시간적 여유도 없고, 팩트를 확인해 줘야할 의무도 없다”며 “증빙자료 첨부한 반박자료를 작성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