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도 정말 많은 뉴스가 만들어지고, 또 소비된다. 하지만 우리가 소비하는 뉴스들은 정해져 있다. 굵직굵직한 정치 이슈나 자극적인 사건 사고, 주식과 부동산이 얼마나 올랐느니 하는 소식이 대부분이다. 그 와중에 좋은 기사는 묻힌다. 그래서 ‘의미 있는’ 기사들을 ‘주간 뉴스 큐레이션’에서 선별해 소개한다.
소소하지만 우리 삶에 중요한 이야기, 혹은 아무도 주목하지 않은 목소리에 귀 기울인 기사, 그리고 지금은 별 관심이 없지만 언젠가 중요해질 것 같은 ‘미래지향’적 기사들, 더불어 세상에 알려진 이야기 ‘그 이면’에 주목하는 기사 등이 그 대상이다. (필자)
6월 첫째 주 좋은 기사 솎아보기
1. ‘D’병원이 아니라 삼성서울병원입니다
정부가 2015년 6월 7일 오전 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 확진환자가 발생하거나 다녀간 병원 이름 24곳을 공개했다. 확진환자가 발생한 지 18일 만이다. 메르스가 확산하면서 병원 공개에 대한 요구가 빗발쳤으나 정부는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며 공개를 미뤄왔다. 그러나 정부가 병원 이름을 공개하기 전부터 한 언론은 취재를 통해 병원 이름을 공개해왔다. 인터넷신문 프레시안이다.
프레시안은 6월 2일부터 언론에 익명으로 보도되던 병원 이름을 공개하기 시작했다. 언론에 ‘평택소재 P 병원’이라 보도되던 곳은 평택성모병원이었고, ‘경기도 모 병원’은 동탄성심병원, ‘서울의 D 병원’은 삼성서울병원이었다. 프레시안은 환자 숫자가 35명까지 늘어난 4일 해당 병원 6곳의 실명을 공개했다.
해당 기사를 쓴 강양구 프레시안 기자는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어느 순간부터 정부가 메르스를 막지 못하는 걸 넘어 헛발질해 확산시키는 정도에 이르렀다. 이런 상황에서는 정부가 자신의 실력을 솔직히 털어놓고 시민을 보호대상이 아니라 같이 위기를 극복할 파트너로 인식해야 한다”며 “그러려면 정보를 공개해야 하는데 이를 막고 있으니 어디선가 물꼬를 터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병원 이름을 공개한 취지를 밝혔다.
- 미디어오늘 – 정부의 메르스 불통, 질병관리본부 시민·노조·언론이 만들다
프레시안의 보도와 박원순 서울시장의 신속한 대응, 계속 이어진 시민들의 공개 요구에 결국 정부는 병원 공개를 결정했다. 중요한 것은 병원 공개가 끝이 아니라 정부가 병원에 관련 지침을 내리고, 이 지침을 국민에게 공개하며 손해를 입은 병원들에 대한 보상책을 마련하는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프레시안의 병원 공개가 이러한 대책 마련의 ‘물꼬’가 되길 바란다.
● 프레시안 – 35명 확진자 ‘메르스 병원’ 6개 실명 공개합니다!
2. 박원순과 의사의 진실공방? 꼼꼼히 살펴보자
박원순 서울시장의 4일 밤 긴급 기자회견을 했다. 대형병원 의사 A씨가 메르스 감염을 모른 채 1,500여 명의 사람들과 접촉했다는 것. 35번 확진환자인 A 씨는 이후 프레시안과 인터뷰에서 박 시장이 거짓말을 했다고 주장했다. 그 이후 언론은 이 사안을 박 시장과 A 씨 간의 진실공방으로 보도했다. 박 시장이 잘했다는 측과 팩트 확인도 안 했다는 측이 맞서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의 ‘진실공방’식 보도가 놓치는 점은 박 시장을 비판하는 근거인 A 씨 인터뷰 자체의 허점이다. 아시아경제는 A 씨 인터뷰를 집중적으로 해부했다. 아시아경제는 A 씨 인터뷰를 하나하나 복기하면서 그 인터뷰 내부에서 발견할 수 있는 허점을 잡아낸다. 균형 있는 판단을 위해선 꼭 읽어야 할 기사다.
- 아시아경제 – 다시 본 메르스 의사 환자 인터뷰…”헛점 투성이”
3. ‘1박 2일’ 스태프 80명 중 정규직은 6명뿐
KBS의 간판 예능 프로그램 ‘1박 2일’은 유독 스태프들이 자주 등장하는 예능 프로그램 중 하나다. 스태프들이 출연자들과 복불복을 벌이고, 같이 게임을 하기도 한다. 이들 스태프 80명 중 정규직은 몇 명일까? 6명뿐이다. 한겨레가 온갖 형태의 비정규직 고용형태가 집약된 ‘비정규직 백화점’ 방송국의 현실을 짚었다.
‘1박 2일’ 스태프 중 정규직은 KBS 소속 PD 6명뿐이다. 나머지 카메라, VJ, 음향, 조명, 동시 녹음팀은 하청업체 직원이며 FD는 파견노동자다. 방송작가들은 프리랜서들이다. 하청 구조의 문제는 저임금 고강도 노동의 고착화다. 하청업체 대표가 방송사에서 돈을 많이 받더라도 막내급들이 받는 수입은 보통 월 150만 원 남짓으로, 많이 받으면 200만 원 정도다.
이런 열악한 노동환경은 일에 대한 동기부여와 조직 소속감을 떨어뜨린다. 장기적으로는 프로그램의 질 저하로 이어진다. 사회의 각종 비정규직 문제를 고발하는 방송사, 내부 문제부터 해결해야 할 때가 아닐지.
4. ‘법 위의 시행령’ 삼권분립은 시행령이 훼손하고 있다
여야가 공무원연금개혁법과 함께 통과시킨 국회법 개정안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시행령이 모법을 위반했을 경우 국회가 이를 수정하라고 요구할 수 있는 내용의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청와대가 ‘삼권분립 위배’라고 반발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국정이 마비될 것이라며 거부권까지 시사했다.
경향신문은 오히려 현재의 시행령이 삼권분립을 위배하고 있다는 점을 분석했다. 정부는 모법을 위배하는 시행령, 즉 ‘행정입법’으로 국회 동의 없이 정책을 밀어붙인다.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기도 하고, 소관부처에 이익을 주거나 허술한 시행령도 가득하다. 시행령 부칙도 국회 동의를 얻어야 하는 외국 사례에 비교하면 행정부의 권력 남용이라고 평가할 만하다. 과연 삼권분립을 어기고 있는 건 누구일까?
●경향신문 – 박근혜 정부 ‘행정입법’ 만능주의
'과거 글 > 슬로우뉴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 뉴스 큐레이션: 메르스 확산 주범, 정부·보피아·의료시스템 (0) | 2015.06.27 |
---|---|
주간뉴스 큐레이션 : 최저임금으로 한 달 살기, 결론은 불가능 (0) | 2015.06.21 |
주간 뉴스 큐레이션: 혈맹은 없다 – 세금으로 이자놀이하는 주한미군 (0) | 2015.06.02 |
주간 뉴스 큐레이션: "니가 기자냐?" CBS의 이유 있는 셀프 디스 (0) | 2015.05.29 |
주간뉴스 큐레이션: 당신의 월급은 대한민국 몇%입니까? (0) | 2015.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