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도 정말 많은 뉴스가 만들어지고, 또 소비된다. 하지만 우리가 소비하는 뉴스들은 정해져 있다. 굵직굵직한 정치 이슈나 자극적인 사건 사고, 주식과 부동산이 얼마나 올랐느니 하는 소식이 대부분이다. 그 와중에 좋은 기사는 묻힌다. 그래서 ‘의미 있는’ 기사들을 ‘주간 뉴스 큐레이션’에서 선별해 소개한다.
소소하지만 우리 삶에 중요한 이야기, 혹은 아무도 주목하지 않은 목소리에 귀 기울인 기사, 그리고 지금은 별 관심이 없지만 언젠가 중요해질 것 같은 ‘미래지향’적 기사들, 더불어 세상에 알려진 이야기 ‘그 이면’에 주목하는 기사 등이 그 대상이다. (필자)
6월 첫째 주 좋은 기사 솎아보기
1. 외롭고 좁고 쓸쓸했던 최저임금으로 한 달 살기
6월, 최저임금이 결정되는 달이다. 5,580원인 최저임금은 아마 몇십 원, 몇백 원 오르고 말 것이다. 동결하자는 사측 위원과 대폭 올리자는 근로자위원 사이의 ‘타협점’에서 최저임금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최저임금을 이렇게 반으로 후려치기를 하듯 결정해도 되는 것일까. 누구에게 최저임금은 ‘삶’이다. 두 명의 시사IN 신입기자들이 한 달간 최저임금으로 살 수 있는지, 실험해봤다.
실험 결과는 최저임금으로 한 달을 사는 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24만 원 짜리 고시원에서, 일주일에 한 번씩 알바를 바꿔가며 생활한 이상원 기자는 15만 5,674원이 적자였다. 담배를 피우지 않았다면 적자를 줄일 수 있었겠지만 줄어든 휴식시간 탓에 훨씬 지쳤을 것이다. 친구들과 만나지 않았다면 적자는 줄었겠지만 쓸쓸함을 견디지 힘들었을 것이라 말한다.
김연희 기자는 35만 원짜리 고시원에 살며 프랜차이즈 음식점에서 일했다. 주휴수당도 근로계약서도 없었다. 음식점은 손님이 없을 때 직원 일부를 조기 퇴근하는 ‘꺾기’로 비용을 아낀다. 중고 휴대전화도 팔고 토익 시험도 취소했지만 남은 건 마이너스 9만 6,630원.
이 기획기사의 압권은 ‘프린세스 메이커’를 연상시키는 게임형 인터렉티브 기사 ‘최저임금으로 한 달 살기’이다. 두 명 중 한 명을 선택해 한 달간 최저임금으로 살 수 있는지 보여준다. 여러 번 시도해봤지만 몇 번을 시도해도 결과는 ‘실패’다.
● 시사IN 최저임금 기획기사
- 최저임금으로 한 달 살기
- 외롭고 좁고 쓸쓸한 ‘미션 임파서블’이었어
- 두 기자의 가계부 내역
- 법대로 받아도 가계부 보기 무섭네
- 게임형 인터렉티브 뉴스 – 최저임금으로 한 달 살기
- 최저임금은 어떻게 결정되나?
- ‘오 과장’ 임금 깎으면, ‘장그래’ 임금 오른다고?
- “세분화된 최저임금제가 필요하다”
- 사용자의 최저임금 체감지수는?
- 한국 최저임금 OECD 순위는?
- 최저임금 ‘1만원’ 이룬 독일… 결과는?
2. 노동착취도 모자라 ‘성 착취’ 제안까지 받는 비정규직
“섹스 파트너가 급히 필요해서요” “선착순입니다. 1분 전이여” “마감” 충격적이게도 방송사에 프로그램을 공급하는 외주 제작사 PD가 이 프로그램 진행자인 프리랜서에게 보낸 메시지다. [MBC 2580]이 프리랜서 아나운서, MC, 리포터 등 비정규직들이 처한 노동 환경을 다뤘다.
[MBC 2580]은 방송사 프리랜서 진행자, 지망생들의 증언과 사례를 통해 방송계에서 은밀하게 벌어지는 노동 착취 및 성 착취 현장을 고발한다. 방송 진행자 자리를 제안하며 던지는 조건은 “고위 인사 애인이 되면 계절당 5천만 원을 주겠다”는 것이다. 2580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여성 출연자 과반이 성희롱을 경험하고 14%가 신체적 성추행을 당했다. ‘사회 비판’하기 전에 내부 자정부터 해야 할 일이다.
3. “메르스 과장됐다. 치사율 1%” 사실 아니다
일부 언론과 정치권, SNS에서 ‘메르스 위험이 과장됐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국민이 호들갑 떤다’는 말까지 나온다. 그 근거 중 하나는 메르스 치사율이 알려진 바와 같이 40%가 아니라 1%에 불과하다는 것. 독일 본 대학교 드로스텐 교수와 사우디 보건부 차관을 지낸 메미시 박사 팀의 연구가 그 근거다.
JTBC 뉴스룸 “팩트체크”가 치사율 1%가 맞는 말인지 따져 물었다. 사우디의 메르스 확진자 1,016명 중 사망자가 447명이라는 점에서 메르스 치사율은 44%다. 그러나 이 논문은 메르스에 감염된 적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사람을 4만 명이라고 말한다. 즉 분모가 4만 명으로 바뀌면 치사율은 1.1%대로 떨어진다는 것이 논문의 내용이다. 그러나 ‘팩트체크’에 따르면 이는 감염학의 기본을 무시한 셈법이다.
심지어 논문을 쓴 드로스텐 교수조차 “팩트체크”와 인터뷰에서 “4만명이 감염자일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를 가지고 치사율에 대한 결론까지 내릴 수 없다”고 말했다. 과도한 불안조성은 삼가야 하지만 경계의 목소리를 “치사율은 1%”라며 선동으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
4. 메르스, 감염병 매뉴얼만 따랐어도…
때론 ‘매뉴얼’만 따라도 금방 해결되는 일인데, 기본적인 것을 지키지 않아 일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뉴스타파 보도에 따르면 메르스 확산도 비슷한 경우다. 보건당국은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만든 ‘감염병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을 지키지 않았다.
정부는 감염병 경보단계 중 3번째인 ‘경계’ 단계 상황인데도 ‘주의’를 유지하고 있다. 매뉴얼에는 분명 해외 신종감염병이 국내로 유입된 후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거나, 국내 신종·재출현 감염병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될 경우에는 위기 경보 수준을 ‘경계’로 발령해야 한다고 나와 있는데도 말이다.
‘주의’ 단계에서 해야 할 일도 하지 않았다. 매뉴얼에는 주의 단계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 제공을 통해 불필요한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다. 그러나 병원 이름도 한동안 공개하지 않았다. 지금은 매뉴얼을 지키고 있을까?
'과거 글 > 슬로우뉴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 뉴스 큐레이션: 공안사건 피해자들, 두 번 죽다 (0) | 2015.07.07 |
---|---|
주간 뉴스 큐레이션: 메르스 확산 주범, 정부·보피아·의료시스템 (0) | 2015.06.27 |
주간 뉴스 큐레이션: 정부보다 먼저 ‘메르스 병원’ 공개한 프레시안 (0) | 2015.06.13 |
주간 뉴스 큐레이션: 혈맹은 없다 – 세금으로 이자놀이하는 주한미군 (0) | 2015.06.02 |
주간 뉴스 큐레이션: "니가 기자냐?" CBS의 이유 있는 셀프 디스 (0) | 2015.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