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글 /기타 칼럼 기고

MBC, KBS는 없어도 된다고?

https://univ20.com/75913

[Question] MBC, KBS는 없어도 된다고?

우리가 주인이다, 이제 언론을 장악하자.

“MBC, KBS 없어도 돼. JTBC 뉴스 보면 되지. 드라마는 tvN 보면 되고.” 얼핏 맞는 말처럼 들린다. KBS 뉴스가 여론을 좌지우지하던 시대는 끝났고, ‘드라마 왕국 MBC’도 이제 옛말이다. MBC와 KBS, 두 공영방송 없이도 우린 재밌게 잘 살 수 있을 것 같다. 그런데 정말 그게 다일까?

 

음수사원(飮水思源). 상암 MBC 사옥에 걸려 있는 글귀다. 풀이하자면 “물을 마실 때는 그 근원을 생각하라”는 뜻이다. 한마디로, 언론인들이 언론의 근원이 어디에서 오는지 생각해야 한다는 말이다. 언론의 근원은 어디일까? 시청자일까?

 

안광한 전 MBC 사장은 2014년 9월 MBC 특집 프로그램에 출연해 ‘음수사원’에 대해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시청자 여러분, 여러분의 고마움을 잊지 않겠습니다.” 하지만 이 글귀에는 비밀이 하나 숨어 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MBC 대주주인 정수장학회의 전신, ‘5·16 장학회’에 친필로 남겼던 글귀가 바로 ‘음수사원’이었다. 이런 맥락을 이해하면 MBC에 걸려 있는 이 글귀의 의미가 색다르게 다가온다. 권력자는 늘 여론을 마음대로 좌지우지하고 싶어 하고, 이를 위한 가장 좋은 수단이 언론 통제였다.

 

따라서 권력자가 말하는 ‘음수사원’이란 “시청자를 생각하라”가 아니라 “권력의 눈치를 보라”는 말로 들린다. “너희들의 진짜 주인이 나라는 거, 알지?” 지금 대한민국에서는 언론의 근원을 둘러싼 싸움이 벌어지고 있다. MBC와 KBS, 두 공영방송 언론인들이 방송 독립을 외치며 파업 중이다.

 

어떤 이들은 이를 두고 언론인들의 ‘방송 장악’이라 말한다. 글쎄, 아마 언론의 근원을 정치권력에서 찾고 있는 이들이라면, 방송의 독립성을 지키자는 언론인들의 요구가 자신들의 것을 빼앗아가기 위한 ‘장악’으로 보일지도 모르겠다.

 

방송 장악은 필요하다. 공영방송을 마침내 국민의 것, 우리의 것으로 가져오기 위한 장악 말이다. 공영방송은 공공의 재산인 전파를 사용해 방송을 하고,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된다. MBC와 KBS의 언론인들은 우리가 낸 세금으로 월급을 받는다.

 

그것은 우리가 MBC와 KBS를 포기해선 안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뉴스룸> 같은 뉴스를 만들지 못해도, <도깨비> 같은 드라마를 만들지 못하더라도, MBC와 KBS가 우리 것이기 때문이다. 시대를 앞서가는 예능, 젊은 층의 니즈를 겨냥한 드라마, 한층 더 깊이 들어가는 뉴스는 케이블 채널과 종편이 더 잘 만들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그 방송은 우리 것이 아니다. 다른 주인이 있다. 그 주인의 이름은 사주, 광고주 등등으로 다양하다. 우리나라 방송법에는 ‘방송의 공정성과 공익성’에 관한 규정이 있다. “방송은 상대적으로 소수이거나 이익 추구의 실현에 불리한 집단이나 계층의 이익을 충실하게 반영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방송법 제6조 5항의 내용이다.

 

왜 소수자나 약자를 대변하라고 법으로 규정했을까? 기득권과 강자는 자신의 입장을 외칠 수 있는 마이크도 많고 뜻을 관철시킬 수단도 너무 많은데, 소수자나 약자는 그런 게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방송이 나서서 그 불균형을 바로잡아주라는 뜻이다.

 

MBC와 KBS가 사라진다면, 또 제 기능을 하지 못한 채 사그라든다면 우리는 어떤 언론에 이런 공공성을 요구할 수 있을까? 우리가 억울할 때 이야기를 들어달라고 요구할 수 있을까? 미디어 경쟁이 극에 달해, 언젠가 시장의 논리가 방송과 언론을 완전히 지배할 날이 올지도 모른다.

 

언론의 공공성과 공익성은 좋은 시절 한가한 소리로 취급 받을 날이 올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날이 오늘은 아니다. 내일도 아닐 것이다. 여전히 방송의 공공성을 붙들고 있는 언론인들과, 그들을 지지하는 시민들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주인이다, 이제 언론을 장악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