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와 관련된 남의 글/인터뷰/언론보도

박주민 의원은 왜 기자들에게 인기가 없을까

www.goba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930

 

박주민 의원은 왜 기자들에게 인기가 없을까 - 고발뉴스닷컴

“기자분들이 제가 편하지 않다고 하시더라고요. 심지어 어떤 매체의 반장 되시는 분이 약주를 심하게 하시고 밤에 거의 새벽에, 전화를 하셔서 도대...

www.gobalnews.com

“기자분들이 제가 편하지 않다고 하시더라고요. 심지어 어떤 매체의 반장 되시는 분이 약주를 심하게 하시고 밤에 거의 새벽에, 전화를 하셔서 도대체 왜 이렇게 기자들한테 안 편하게 대하냐? 그런 말씀을 하실 정도로. 전화를 제가 잘 안 받고 그 다음에 통화하는 와중에도 기자분들께서 취재가 부족하신 상태에서 하시면 제가 취재가 부족한 것 같다고 바른 소리를 많이 합니다.”

13일 방송된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에 출연한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털어놓은 고백(?)이다. 박 의원은 이날 ‘언론의 정치보도 관행’이란 주제로 진행된 방송에서 “기자들한테 꽤 인기가 없는 의원으로 알고 있다”는 진행자의 질문에 이 같은 해명을 내놓은 것이다. 

함께 출연한 YTN 출신 김영우 전 국민의힘 의원은 정치(인)와 언론의 관계를 시종일관 ‘실과 바늘’로 정의했다. 그 만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는 설명이었다. 이에 대해 함께 출연한 강유정 교수는 ‘악어와 악어새’로 재규정했지만, 분명 정치와 언론이 불가분의 관계라는 정의는 분명 맞는 말일 수밖에 없다. 다만, ‘바른 소리’로 인해 언론과 불편한 관계를 유지 중이라는 박 의원이 털어 놓은 일화는 곱씹을 만했다. 

“(정의당 류호정 의원의 원피스 논란 당시) 이 때 저한테 전화가 굉장히 많이 왔어요. 너무 전화가 많이 오니까 혹시 뭔 일이 터졌나 싶었어요. 큰일이. 깜짝 놀라서 전화를 받았어요. 그랬더니 류호정 의원 원피스 어떻게 생각하세요? 그래서 원피스 못 봤는데요. 실제로 못 봤는데, 그랬더니 또 전화가, 그래서 제가 한 네 통 정도 받다가 ‘역시 안 받아도 되는 군’ 이렇게.”

지난 8월 류 의원의 의상이 논란이 됐을 당시, 주요 언론은 일주일간 무려 717건의 기사를 쏟아냈다고 한다. 당시 문의가 쏟아지자 박 의원은 기자들의 전화를 받지 않았다는 설명이었다. 본질은 온데 간데 사라지고 무의미한 논란만 확대재생산하는 언론의 일면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일화라 할 수 있었다. 

이렇게 이날 <저널리즘 토크쇼 J>는 논란과 정치혐오를 부추기는 언론의 정치와 정치인 보도에 대해 쓴소리를 아까지 않았다. 이어 정치보도의 현재를 짚고 대안을 모색했다. 이와 관련, 전현직 정치부 기자들이 들려준 관행과 이에 대한 진단은 박 의원이 들려준 일화와 함께 우리 언론의 정치보도가 현재를 엿보는 가늠자라 할 수 있었다. 

박주민의 고백, 전현직 기자들의 진단

“정치 기사는 3단계인 것 같아요. 첫 번째는 워딩을 구하고 그 워딩을 두 번째는 해석하고 세 번째는 싸움을 붙이는 거. (예를 들면) 이낙연 대표한테 가서 김종인 대표가 이렇게 말했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싸움을 붙여서 기사를 쓰는.” (조윤호 전 미디어오늘 정치부 기자)

“일부 정치인들이 언론 노출 빈도를 높이기 위해서 좀 과격한 용어를 사용하지 않습니까? 그러면 기자들은 그거를 순화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쓰면서 기자와 언론이 정치인과 기자가 합작해서 막말 공방을 오히려 재생산하는 그런 경우도 있죠.” (김경국 국제신문 서울본부장 겸 정치부장)

이날 <저널리즘 토크쇼 J> 패널들이 지적한 대로, 결국 정치인들의 ‘워딩’에 과하게 집중하는 우리 언론의 속성이 반영된 진단이라 할 만하다. KBS 김빛이라 기자가 지적한 민경욱 전 의원의 경우처럼, 검증 없는 ‘워딩’ 보도는 곧 최근 문제로 대두되는 ‘따옴표 저널리즘’으로 진화했다고 볼 수 있다. 

이어 기자들은 출입처 제도 자체의 폐해를 지적했다. 여야 출입처가 정해지는 동시에 정치인과 기자 너나 할 것 없이 ‘여당 출입 기자는 여당 편, 야당 출입 기자는 야당 편’으로 규정되고 종속되는 분위기가 형성된다는 설명이었다. 이와 관련, 한 기자는 여야, 정당별이 아닌 상임위별 출입처 제도를 제안하기도 했다. 패널인 임자운 변호사 역시 이에 동조하며 더 나아가 “상임위 중심이 아니라 분야 중심으로 다 재편됐으면 좋겠다”며 이렇게 조언했다.  

“가령 노동이라는 분야를 놓고 보면 노동 전문 기자가, 그러니까 노동 정책이나 법률에 대해서 잘 아는 기자가 노동부도 출입하고 환노위도 출입하고 그다음에 기업의 노무 담당 인사들도 만나고 이래서 기사가 나오면 제일 좋은 기사가 올 거라고 보거든요? 

그러면 정치 전문 기자는 뭐냐 전체 판을 볼 줄 아는, 그러니까 선거나 정당이나 그런 국회나 이런 제도에 대해서 깊이 이해를 가지고 있으면서 전체 판의 흐름이 어떻게 가는지를 좀 볼 줄 아는, 그래서 깊은 호흡으로 분석적인 기사를 쓰는 그런 사람에게 정치 전문 기자라는 타이틀을 주고 다른 분야는 그 분야별로 돌아가는 게 맞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사실 답은 자명하다. 이날 제작진과 패널들이 제시한 것도 마찬가지였다. 클릭 수나 조회 수, 시청률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정치의 미디어화나 언론이 정치인의 입장을 대변하는 경향을 벗어나 국민들의 시각에서 좀 더 긴 호흡의 의미 있는 기사를 생산하여 독자들을 설득하는 일말이다. 

하지만 출입처 제도의 관행이 도마에 처음 오른 것이 벌써 참여정부 때 일이다. 지난해 검찰개혁에 이어 언론개혁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KBS가 출입처 제도의 개선을 천명했지만, 이후 확실하게 개혁이 이뤄졌는지는 미지수다. 더불어 언론사의 재벌 기업 광고에 대한 종속 구조 역시 날로 심화되고 있다. 

언론개혁을 언론인들의 자정에만 맡겨서는 요원할 거란 분위기가 팽배해지는 건 그래서다. ‘검찰개혁 다음은 언론개혁’이란 주장도 지난해에 이어 지속되고 있다. 한 시민은 최근 ‘징벌적 손해배상법’을 국회에서 제정해 줄 것을 요구하며 ‘100만인 온라인 서명운동’을 제안하기도 했다. 

“무엇보다도 소위 일부 유력언론사의 이런 보도행태는 사회 갈등을 증폭시키고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리는 핵심입니다. 그리고 사회관계망(SNS)은 특정 정보만 반복해서 골라볼 수 있기 때문에 ‘가치 확증편향’이 강화되기도 합니다. 여기에 인간의 기본 가치까지 부정하는 악성댓글로 많은 사람을 죽음으로 몰아넣기도 합니다. 그러함에도 피해자 구제는 미약하고, 가해자는 거의 처벌을 받지 않는 부정의와 불공정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정의를 위해, 인성의 회복을 위해, 정상적인 사회관계를 위해, 지금 가장 시급한 사회 병폐를 뿌리 뽑아야 합니다. 그래서 ‘징벌적 손해배상법’ 제정이 절실합니다. 부도덕한 언론을 단죄할 강력한 장치가 필요합니다. 억울한 사람의 자기구제 조치가 필요합니다. 사회 정의를 지킬 적극적 제도가 필요합니다.”

한국기자협회 등은 일찌감치 민주당 정청래 의원이 발의한 ‘징벌적 손해배상법’에 반대 성명을 내놓은 바 있다. 하지만 국민들의 언론 보도 행태에 대한 피로감은 ‘세월호 참사’ 이후 줄어들지 모르는 분위기다. 그럼에도, 작금의 보도 행태에 대한 자정을, 취재 관행의 개혁을, 더 나아가 언론개혁의 실천을 언론인들 스스로에게만 맡겨둬도 되는 일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