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조사 끝난 날, 3만 촛불 “특검으로 진상규명”
[촛불현장 2보]시민들, 박근혜 대통령 책임 요구... “촛불이 횃불이 되고 들불처럼 번져나갈 것”
23일 7시부터 서울 청계광장에서 열린 국정원 규탄 ‘제9차 범국민촛불대회’는 국정조사 이후 촛불집회의 방향을 결정하는 자리였다.
국정원 국정조사는 끝났지만 촛불집회는 끝나지 않았다. 청계광장에 3만 명의(시국회의 추산) 시민들이 모여 촛불을 들었다. 시국회의
관계자는 “국정조사가 제대로 안 된 것에 분노해서 이렇게 모인 것 아니겠나”며 “시국회의 역시 국정원 사건이 이대로 끝나선 안
된다고 생각하며, 서명운동과 특검 요구 등을 통해 시민들과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시국회의는 3만 명의 시민들이 모였다고 말했지만, 경찰 추산 인원은 5천 명이었다. 또한 경찰은 동아면세점 앞에서 열린
보수단체 집회에는 3200명이 모였다고 말했다. 하지만 보수단체 집회에는 어림잡아 천 명 정도의 인원이 모인 것으로 보였고,
보수단체 집회 인원과 국정원 규탄 집회 인원이 1800명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보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경찰 추산 방식의
기준이 무엇인지 다시 한 번 논란이 예상된다.
촛불집회를 주도하는 시국회의는 국정조사로 해결하지 못한 의혹들을 특검을 통해 해소하겠다는 입장이다. 박석운 한국진보연대 대표는
“특검으로 진상을 규명하고, 이를 위해 범국민서명운동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시민들도 “특검으로 진상규명, 박근혜가 책임져라”
“국정조사가 끝이 아니다. 특검으로 진상규명하라”고 외치며 촛불을 들었다.
국정원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촛불이 이어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3일째 단식농성을 하고 있는 이상규 통합진보당 의원은
“특검만으로 모든 것을 다 밝힐 수 있을까”라며 “이 사건의 전모를 밝히려면 전 국민이 정의로운 촛불을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국정조사가 끝났지만 많은 국민들이 아직 국정원 사건이 해결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제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우원식 민주당 의원은 “국정조사 직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국정원 선거개입이 없었다는 응답이 27%,
있었다는 응답이 50%였고 경찰의 축소수사가 없었다는 응답이 23%, 있었다는 응답이 55%였다”며 “야당을 지지한 모든 사람들이
이번 선거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박근혜 후보를 지지했던 사람들까지 그렇게 생각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 의원은 이어
“그동안 남 이야기하듯 한 박 대통령이 책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천호선 정의당 대표 역시 “박대통령은 국정원이 박근혜 후보를 도왔다는 사실만으로도 부끄러워서 머리를 숙여야 한다”며 “하지만 박
대통령은 입을 다물고 외면하고 있다. 대통령이란 자리는 정부가 과거에 저지른 일에 대해 머리를 숙여야 하는 자리”라고 비판했다.
이어 천 대표는 “국민의 마음에는 수백만의 촛불이 있다”며 “박 대통령이 나서지 않는다면 이 마음의 촛불이 거리의 촛불이 되고
횃불이 되고 들불처럼 번져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의 ‘대선불복’ 주장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박석운 한국진보연대 대표는 “새누리당은 야당이 국정원 사건을
3.15부정선거에 비교하는 것을 두고 대선불복이라고 하는데, 국가기관이 개입한 것이 부정선거가 아니고 무엇인가”라고 말했다. 이어
박 대표는 “새누리당은 또 결산국회, 정기국회, 국정감사 운운하며 진실을 덮으려 할 것이지만, 우리는 철저한 진상규명을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집회는 8시 40분 경 마무리됐다. 시국회의는 매주 주말 집회를 이어나가면서 9월 14일 범국민대회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나의 글 >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근혜 정부 6개월, “수첩과 철옹성에서 나오라” (0) | 2013.08.25 |
---|---|
“4대강 녹조에서 ‘간질환 유발 물질’ 검출됐다” (1) | 2013.08.25 |
김한길 "광장에서 무서운 호랑이 되겠다" (0) | 2013.08.24 |
국정조사 보고서가 양념반 후라이드반? (0) | 2013.08.24 |
기독인 916명 시국선언 “악을 버리고 선을 행하여라” (0) | 201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