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글 /기사

북한 관련 뉴스, 사실이든 말든 일단 쓰고보자?

북한 관련 뉴스, 사실이든 말든 일단 쓰고보자?

연이은 북한 관련 오보 논란, 언론이 불안감 부추겨… 전문가 “끊어진 남북 교류가 원인”

13일 일본 교통성 오사카 항공국이 공항 내 사무실에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내용의 메일을 보냈다. 하지만 이는 ‘오보’였다. 오사카 항공국은 효고현에서 발생한 규모 6.3의 지진으로 공항의 피해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한 메시지를 보내야 하는데 실수로 메일을 잘못 보냈다고 해명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언제 이루어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관련된 메일을 준비해뒀는데, 실수로 그 메일을 보내버린 것이다. 오사카 항공국은 6분 뒤 메일 발송을 취소했지만 국내 항공기 1편이 지연되는 등의 소동이 벌어졌다. 
 
일본이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오보’를 발신한 건 처음이 아니다. 지난 10일 요코하마 시는 트위터에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정보가 있었다”고 썼다가 20분 후 정정했다. 메시지를 본 시민들이 “정말로 미사일이 발사됐느냐”라고 전화를 거는 소동이 벌어졌다. 하루 뒤인 11일에는 후쿠오카시 항공교통관리센터가 전국 항공 관제소에 ‘북한 미사일 발사’라는 메시지를 보냈다가 4분 만에 취소하는 일도 있었다. 일본 지자체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얼마나 긴장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처럼 한반도의 긴장이 높아져 가면서 오보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5일 러시아 이타르타스 통신은 북한 외무성이 평양의 러시아대사관에 철수를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이 보도 역시 오보였다. 러시아대사관이 북한 외무성에 “진짜 전쟁이 나는 것 아니냐, 불안하다”고 묻자 북한 외무성이 “그럼 철수하든지 하라”고 대답했는데, 이것이 북한이 러시아대사관에 철수 요청을 했다는 식으로 와전된 것이다.
 
한국 언론의 오보도 이어졌다. 연합뉴스는 지난 4일 <북, 개성공단 입주기업협에 ‘10일까지 전원 철수’ 통보(1보)>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이 소식은 북한이 개성공단을 전면 폐쇄하려고 한다는 전망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이는 오보였다. 북한이 개성공단 입주기업협회에 10일까지 통행계획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는데, 이것이 완전된 것이다. 통일부는 “북한이 10일까지 통행 계획을 제출하라고 요구한 것”이라고 밝혔고 청와대도 “오보일 가능성이 크고 잘못된 메시지가 전달될 수도 있다”고 해명했다. 연합뉴스는 청와대 해명이 있은 뒤 "정부, "개성공단 전원철수 요구설은 와전"이라는 속보를 내보냈다.
 
   
▲ 연합뉴스 캡처
 
 
한미 군 당국이 대북 정보감시태세 워치콘을 2단계로 격상시켰다는 언론의 보도도 ‘오보’ 논란에 휩싸였다. 청와대 윤창중 대변인은 "여러 언론에서 워치콘2로의 격상을 보도했지만 3월 5일 북한 최고 사령부 성명 발표 이후 격상돼서 한미정보감시자산이 증가됐던 것"이라고 밝혔다. 3월 5일 북한이 조선인민군 최고사령부 대변인 성명을 통해 정전협정 백지화를 선언했을 때 워치콘 2단계 격상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언론은 북한이 도발을 예고한 지난 10일, 워치콘이 격상되었다는 소식을 내보냈다. 하지만 언제 격상되었는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박근혜 대통령이 집무실과 지하벙커(국가위기관리상황실)를 오가며 안보상황을 점검했다는 지난 10일 언론 보도도 오보 논란에 휩싸였다. 청와대 김행 대변인은 “대통령은 지하벙커에 가지 않았다”며 “대통령이 지하벙커에 가서 무엇인가를 했다 이러면 국민들이 불안해 할 수 있다. 진짜로 대통령이 국가위기관리상황실에 가면, 그 곳에 가서 회의를 했다고 브리핑 하겠다"고 말했다. 
 
언론의 잇따른 오보가 한반도의 긴장을 극대화하고 국민의 불안감을 자극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 교수는 미디어오늘과의 전화통화에서 “언론이 특종경쟁으로 인해 다소 앞서가는 보도를 하는 건 불가피한 면이 있다”며 “하지만 최근의 몇몇 건에 대한 언론의 카더라 식 보도는 여론 형성에 있어 국민들의 불안함을 자극하는 면이 있고, 반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 교수는 “언론만 탓할 일이 아니다. 언론이 북한에 관한 확실한 정보를 얻으려면 남북 간의 대화와 교류·협력이 있어야 한다”며 “언론의 정확한 보도를 위해서라도 남북 간 대화와 교류가 이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