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월 마지막 주 좋은 기사 솎아보기
1. 2017 대선, 경제도 살리고 도덕적인 대통령?
박한철 헌법재판소장이 3월 13일을 대통령 탄핵심판의 데드라인으로 잡았다. 이 스케줄대로라면 빠르면 4월, 늦어도 5월 중으로 조기대선이 실시된다. 대한민국 국민은 어떤 대통령을 원할까? 매일경제가 빅데이터 분석업체 아프락시스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게재된 정치기사 밑 댓글 약 117만 개를 분석했다.
댓글이 말하는 시대적 요구는 계속 변화했다. 2007년 리더십의 조건은 경제와 서민이었고 그 결과는 이명박이었다. 2012년 대선은 서민과 안보였으며 그 결과는 박근혜였다. 두 보수 정권은 경제를 살리지 못했고, 그 결과 2017년 리더십의 조건은 경제능력에 도덕성, 개혁성 등이 추가됐다. 경제는 기본이고 도덕적이면서도 개혁성을 갖춰야 한다는 뜻이다. 안보는 뒤로 밀렸다.
매일경제는 이러한 리더십 조건을 기준으로 대선주자 6명(문재인, 반기문, 안철수, 이재명, 유승민, 안희정)의 리더십 조건 적합도를 선정했다. 문재인은 경제 능력과 안정적 안보관에서, 반기문은 개혁성과 도덕성, 서민 이미지에서, 이재명은 경제 능력과 절차·설득 중시 측면에서 한계를 보였다. 남은 3~4개월간 이 약점을 극복하는 이가 대한민국 대통령이 될 것이다.
● 매일경제 ‘빅데이터로 본 뉴리더십’ 기획
- 시대의 요구, 10년만에 `경제대통령`…개혁·도덕성·소통 필수
- 이런 리더는 `대선 링` 못 오를수도
- 文 설득·도덕성…潘 안보관…安 개혁의지 각각 선두
- `촛불` 이면엔 생활苦…민심은 `경제 살릴 리더` 원한다
- “정치댓글 117만건 분석…유형별로 분류”
2. 대학입시 결과에 승복할 수 없는 이유
최순실 게이트를 촉발한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정유라의 대학 부정입학이었다. 입시에 매달리는 수많은 10대와 이 입시를 갓 통과한 20대, 그리고 그 부모 세대의 공분을 건드렸다. 대선 국면에서도 대학입시제도가 쟁점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많은 이들은 현재 입시제도가 공정하다고 느끼지 않는다. 한겨레21이 학생들 의견을 직접 물었다.
한겨레21 조사에 참여한 140명의 응답자 가운데 42.1%가 입시 결과에 ‘승복할 수 없다’고 말했다. 현행 입시는 과거처럼 수능 점수만 요구하지 않는다. 학생부종합전형 등에서는 학생부와 자기소개서가 필수다. 교사가 써야만 하는 이 학생부를 사실상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다.
자소서가 자소설이 된 지는 오래다. 다양한 수업과 교육은 하지도 않으면서 ‘대학의 인재상에 맞는 다양한 경험’을 요구하므로, 경험보다 포장이 더 중요해졌다. 학생들이 느끼기에 학교 차별도 존재한다. 노력이나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일반고에 다녀서 불이익을 받았다는 것이다. 많은 이들이 “차라리 수능이 낫다”고 할 정도로 입시제도의 공정성과 객관성에 대한 신뢰는 바닥으로 떨어졌다.
● 한겨레21
3. 박근혜의 40년 된 지갑, 최순실
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특검 수사는 최순실의 국정농단을 넘어 박근혜와 최순실의 경제적 관계까지 다가섰다. 최순실은 “박 대통령과 경제적 이해관계를 같이한 적이 전혀 없다”고 주장하지만, 여러 정황상 최순실은 40년 전부터 박근혜의 재산관리사였을 가능성이 높다. 최순실이 박근혜 이름을 빌려 기업들 삥을 뜯은 정도가 아니라는 말이다.
KBS 추적60분은 박근혜의 재산을 둘러싼 40년간의 수상한 움직임들을 조명했다. 사람들은 박근혜에게서 근검절약하는 서민의 모습을 보았지만, 그가 노력하지 않고 얻은 재산은 밝혀진 것만 35억 원에 달한다. 그리고 그 돈에는 최순실의 흔적이 남아 있다. 최씨 일가의 자택이며 건물 사무소에는 박정희와 육영수의 유품까지 있었다. 유명화가의 그림부터 행방이 묘연했던 육영수의 목도리까지, 최씨 일가의 손이 닿지 않은 박근혜 일가의 재산은 찾기 어려웠다.
박근혜의 동생 박근령의 유학자금부터 박지만의 용돈, 자택 구입비에도 최씨 일가의 흔적이 묻어 있었다. 박근혜가 국회의원에 출마했을 때는 아예 한 아파트에 기거하며 유세활동을 지원했다. 선거 때마다 거액의 선거자금까지 내줬다는 의혹도 있다. 2016년 말 대통령의 의상비와 주사비를 최순실이 대납했다는 사실이 드러나기 훨씬 전부터, 최순실은 박근혜의 총무이자 지갑이었던 셈이다.
● KBS 추적60분
4. 가짜 뉴스에 속지 말자
미국 대선에서 벌어진 트럼프의 거짓말 같은 당선 원인 중 하나로 ‘가짜 뉴스’가 꼽힌다. 미 대선 전 3개월 간 가짜 뉴스에 달린 댓글, 좋아요, 공유 수가 주류 언론의 뉴스보다 많았을 정도였다. 이 가짜 뉴스가 한국 대선도 위협하고 있다. 한국일보가 유권자의 객관적 판단을 제약하는 가짜 뉴스의 창궐을 짚었다.
“CNN이 ○○○이라고 보도했다.”
“영국 정치학자 ○○이 ○○○이라고 말했다.”
외국 평가에 유독 민감한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짜 뉴스 유형이다. 다음 아고라에 올라온 ‘속보, 유엔(UN)본부 반기문 출마 제동 움직임’이라는 제목의 가짜 뉴스는 인터넷 언론이 기사화하고, 정치인들이 사실인 것처럼 언급하는 해프닝까지 벌어졌다. 이 외에도 ‘북한, 김진태 제거하라 지령 하달’, ‘[단독]북한 간첩, 서울서 야당과 대통령 탄핵 외쳤다’ 같은 출처 불명의 가짜 뉴스들이 버젓이 뉴스로 유통된다.
‘주목받고 싶어서’, ‘진짜일 줄 믿고서’, ‘상상을 현실로 만들고 싶어서’ 등 가짜 뉴스를 만든 동기는 단순하다. 더 큰 문제는 이 가짜 뉴스가 ‘믿고 싶은 것들만 믿는’ 사람들을 상대로 엄청나게 퍼져 나간다는 데 있다. 반기문을 싫어하는 이들은 반기문에 불리한 가짜 뉴스를 의심 없이 퍼트리고, 박근혜 지지자들은 탄핵과 관련된 가짜 뉴스를 마구잡이로 퍼트린다. 주류 언론에 대한 불신은 이런 가짜 뉴스의 창궐에 기여했다.
● 한국일보
'과거 글 > 슬로우뉴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 뉴스 큐레이션: 민주주의보다 간절한 알바비 (0) | 2017.03.26 |
---|---|
주간 뉴스 큐레이션: 복직이 사람을 살린다 (0) | 2017.02.07 |
주간 뉴스 큐레이션: 문제는 노동시간이다 (0) | 2017.02.07 |
주간 뉴스 큐레이션: 프레임 전환의 귀재, 김기춘 (0) | 2017.02.07 |
주간 뉴스 큐레이션: 2017년에는 "박정희 아웃" (0) | 2017.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