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의 ‘유체이탈’, “‘채동욱 사건’ 배후 밝혀야”
[비평] 조선 “채모군 개인정보 유출과정 밝혀야”… 조선은 개인정보 어떻게 확인했을까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자’로 지목된 채모군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과정에서 청와대가 채동욱 전 총장을 찍어내기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점점 커지고 있는 가운데, 채동욱 혼외자설을 처음 보도한 조선일보마저 ‘배후를 밝히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하지만
조선일보의 보도는 자신의 책임은 망각한 ‘유체이탈’식 보도라는 지적이 나온다.
조선일보는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자’ 논란을 처음 보도한 당사자이지만 검찰의 관련 수사에 대해 한동안 침묵했다. 지난 27일
검찰이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자식’ 의혹이 제기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불법적으로 유출된 정황을 포착해 서울 서초구청
조이제 행정지원국장의 사무실과 집을 압수수색했고 대부분의 언론이 이를 보도했지만 유독 조선일보만 이 소식을 전하지 않았다. 나아가
28일 조 아무개 국장이 국가정보원에서 근무했던 사실이 드러나 대부분의 언론이 이를 보도했는데도 조선일보는 이 소식을 전하지
않았다.
조선일보가 보도에 나서기 시작한 시점은 채동욱 전 총장의 ‘혼외자’로 지목된 채모군의 개인정보 유출의 배후에 청와대가 있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부터다. 채모군의 개인정보 유출을 수사 중인 검찰이 2일 조이제 국장으로부터 “청와대 총무비서관실 조오영 행정관의
부탁으로 가족부를 열람하게 됐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고, 조선일보는 10면 기사 <채동욱 혼외아들 정보 유출에
靑행정관 개입 정황>에서 이 같은 사실을 보도했다.
이후 조이제 국장에게 열람을 부탁한 조오영 행정관이 친인척 관계에 있던 안행부의 김모 국장으로부터 의뢰를 받았으며, 김모 국장이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근무했었다는 사실이 드러나자 청와대 배후설에 힘이 더 실렸다.
조선일보는 5일자 기사에서 ‘채동욱 혼외자’ 정보유출라인의 배후에 대해 세 가지 가능성을 제기한다. 첫 번째 가능성은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 관련해 선거법 위반 혐의를 받고 있던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채 전 총장의 약점을 잡아 수사를 중단시키기 위한
압박용으로 김 국장에게 가족부 열람을 지시했을 가능성”이다.
![]() |
||
▲ 5일자 조선일보 10면 |
세 번째 가능성은 ‘현 국정원 라인’이다. 조선은 “남재준 현 국정원장이 직접 나섰거나 국정원 내 과거 원 전 원장 라인이 채 전 총장 보복용으로 준비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조선일보의 보도를 두고 전형적인 ‘유체이탈’식 보도라는 지적이 나온다. 조선일보는 지난 9월 6일 1면 기사를 통해 채동욱 ‘혼외자’ 의혹을 처음 제기한 데다, 채모군의 초등학교 기록(학생부)상 아버지 이름이 ‘채동욱’이라는 내용까지 보도했다. 한국여성단체연합 등의 시민단체는 9월 26일 개인정보를 위법적으로 유출한 혐의로 조선일보 기자 2명을 검찰에 고발했다.
청와대가 조선일보에 정보를 흘렸다는 의혹이 나오는 이유도 조선일보가 쉽게 확인이 어려운 개인정보를 ‘채동욱 혼외자’설의 근거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지난 10월 1일 신경민 민주당 의원은 국회 긴급현안질의에서 “곽상도 전 수석은 8월 5일 경질되면서 이중희 민정비서관에게 채 총장 자료를 주고 떠났는데 8월 중순 곽 전 수석이 채 총장의 정보를 들고 강효상 조선일보 편집국장을 만났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 |
||
▲ 6일자 조선일보 35면 |
하지만 조선일보는 이러한 사실에 대한 언급 없이 “채동욱 혼외자 정보 열람을 누가, 왜 지시했는지 속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은 6일자 사설을 통해 “이들이 채군 가족관계등록부 열람을 부탁한 6월 11일은 검찰이 국정원 댓글 사건에 개입한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하겠다고 공식 발표한 날이어서 더 의아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선일보 말대로
이는 참 의아한 일이지만, 그 개인정보를 조선일보가 어떻게 얻었는지도 의아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조선일보는 또한 “이번 사건 수사는 어려울 게 없다”며 “지금까지 드러난 사람들 간의 관계와 이들의 배후가 있는지, 있다면 그
배후가 누구인지만 밝히면 된다”고 말했다. 조선일보의 말이 맞다. 또한 조선일보가 합법적으로는 취득하기 힘든 채모군의 개인정보를
어떻게 알았는지 밝히면, 이 사안은 더욱 쉽게 해결될 수 있을지 모른다.
윤여진 언론인권센터 사무처장은 6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조선일보는 당사자의 반론을 받지 않은 것, 그리고 개인정보 유출 등
개인의 인권을 침해한 것에 대해 책임 있는 발언을 해야 한다”며 “그런 것 없이 본인들은 관계없다는 식으로 배후를 밝혀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언론으로서 기본적인 원칙을 지키지 않는 태도”라고 비판했다.
'나의 글 >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법 요건 충족 못하는 보수 인터넷매체들? (0) | 2013.12.09 |
---|---|
공정성 잣대 ‘편파심사’하는 방심위…국정원 통진당 단골메뉴? (0) | 2013.12.09 |
검색어 5위에 청취율 1위, CBS 라디오 강세 이유는? (0) | 2013.12.09 |
팩트TV, 시국미사영상 사용한 방송사 고소…쟁점은? (0) | 2013.12.09 |
용산철거민들 “세계일보, 펜으로 유가족 두 번 죽였다” (0) | 2013.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