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의 탄탄대로 앞에 놓인 변수는 크게 두 가지다. 첫 번째 변수는 별 성과 없이 남북 회담이 결렬되고 지리한 군사적 대치가 장기화되는 경우다. 직접적인 책임은 북한에게 돌아가겠지만 위기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무능론’이 대두되고 경제에 타격이 커질수록 ‘시장보수’들이 실망할 가능성이 있다. 

이택수 대표는 “위기상황이 닥치면 대통령 지지율이 오르지만, 위기가 지속될 뿐 잘 해결이 안 될 경우 오히려 지지율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세월호 참사 때도 초기 박 대통령 지지율은 70%까지 치솟았으나 이후 정부의 무능이 이어지면서 지지율은 40%대로 곤두박질쳤다.

두 번째 변수는 외교안보 국면이 얼마나 오래갈 수 있느냐이다. 윤태곤 실장은 “남북이 만나 철도를 뚫거나 하지 않는 이상 외교안보 이슈는 1-2달을 가기 힘들다. 9월 26일, 다가오는 추석을 앞두고 경제사회적 이슈가 다시 부각될 수 있다”며 “결국 안보이슈로 국정 동력을 만든다 해도 경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금방 동력이 꺼질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결국 박 대통령은, 북한이 먼저 양보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북한에) 져야 (국내정치에서) 이기는’ 딜레마에 빠져 있다. 이 딜레마를 극복한다 해도 박 대통령 앞에는 ‘경제 살리기’라는 거대한 과제가 하나 더 남아 있다.